2019. 6. 17. 13:40ㆍ일본 회사생활
IT인재 부족에 결국 정부가 진두지휘
[뉴스투데이/도쿄=김효진 통신원] 글로벌기업들이 앞 다퉈 영입 중인 AI인재를 연간 25만 명씩 육성하기 위한 일본정부의 AI전략이 지난 달 29일 이노베이션 전략추진회의를 통해 발표되었다.
전세계적으로 인공지능은 다양한 사물을 인터넷으로 연결하는 IoT의 보급이나 빅 데이터의 분석과 활용 보급화로 인해 모든 산업에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때문에 고도의 전문기술자가 아니더라도 향후에는 대부분의 업계와 직종에서 인공지능에 관한 지식을 필요로 하게 될 것이라 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
하지만 이처럼 급속도로 실용화가 진행되는 인공지능에 비해 일본 내 대학이나 기업들의 인재육성은 아직 속도를 맞추지 못하고 있다. 정부조사에 의하면 IT석사과정을 수료하는 학생 수는 도쿄대학이나 게이오대학, 와세다대학 등 주요 11개 대학에서 연간 900명이 되지 않고 전국으로 계산해도 2800명 정도에 머무르고 있다.
그 결과 기업들의 이공계 신입직원 채용규모는 6년 연속으로 10% 이상씩 증가하고 있지만 실제 충원률은 매년 95%를 밑돌고 있다. 인문과 경상계열의 신입직원 충원률이 매년 100%를 넘기고 있는 것과는 상당히 대조적이다.
비전공 학생들에 대한 IT교육도 현재는 전무하기 때문에 일본 경제산업성은 인공지능 등의 IT지식을 가진 인재가 내년 한해에만 약 30만 명 부족할 것이라 내다봤다. 결국 정부는 현재의 교육제도로는 앞으로도 충분한 인력수급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하여 직접 IT교육체제 만들기에 돌입했다.
당장 전국의 대학과 전문고등학교에 초급수준의 AI교육 과정을 마련토록 하여 최소한의 프로그래밍 능력과 AI논리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해당 과정을 수강한 학생들은 이수결과에 따라 수료증을 발급받아 취업활동에도 활용할 수 있다.
이 중 25만 명은 딥러닝이나 기기학습과 같은 고도의 IT과정을 복수전공으로 이수하여 ‘AI와 경제학’, ‘데이터 사이언스와 심리학’처럼 본래 전공과 융합된 AI 핵심인재로 육성할 계획이다.
또한 직장인들의 IT교육에도 힘을 써서 2022년까지 도쿄대학과 오사카대학 등 전국 주요 대학에 사회인을 위한 인공지능 전문코스를 신설하고 학비의 일부를 정부예산으로 보조한다. 이를 통해 연간 2000명의 AI인재를 추가로 육성하는 것이 목표다.
아베 총리는 각 대학들에 이와 같은 일련의 개혁안을 순차적으로 커리큘럼에 반영하도록 요청하는 한편 기업들에는 AI인재들을 위한 근로환경과 대우를 더욱 개선해줄 것을 주문할 예정이다.
정부의 계획대로 25만 IT인재 양병설이 실질적인 효과를 거둔다면 매년 일본으로 취업하는 해외인재들에 미치는 영향도 불가피한 만큼 향후 결과를 주목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일본 회사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자리 풍년 유학생 취업자 수 사상 최대 (0) | 2019.06.18 |
---|---|
출퇴근 지옥철 피할 자리예약 서비스 샐러리맨들 환영 (0) | 2019.06.17 |
일본기업 입사에서 적성검사가 중요한 이유 세가지 (0) | 2019.06.13 |
일본, 동시채용은 옛말, 상시채용 기업 급증 (0) | 2019.06.12 |
'종신고용 어렵다’ 도요타 회장 폭탄발언에 일본사회 술렁 (0) | 2019.06.12 |